사이트 로그인
| ||||
| ||||
제수의 진설(제사상 차림)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 그리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가가례(家家禮)라고도 하며 '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참견 말라'는 풍자적인 말까지 나오게 된다.
흔히 "조동율서"(棗東栗西)라고들 하나 예문(禮文)에는 없는 말이며, 또 "홍동백서"(紅東白西)라 하나 이것도 찾아 볼 수 없다.
기제는 단설(單設)과 합설(合設)이 있는데 한 분만을 모시는 것을 단설이라 하고 내외 분을 함께 모시는 것을 합설이라 한다. 단설이 옳으냐, 합설이 옳으냐 하는 문제는 예로부터 논쟁이 있었으나, 가문에 따라 다르며, 다만 부부는 일신이라는 말대로 정분을 보더라도 합설하는 것이 옳지 않은가 생각된다. 합설할 경우에는 제상에 두 분 것을 따로 차릴 것이 아니고 한 제상에 메와 잔만 두분 것을 따로 올리면 된다는 예문이 있다.
1. 제례의 방위
제주(祭主)가 제상(祭床)을 바라볼때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한다. 신위(神位)를 모신 쪽이 북(北)이며, 제주(祭主)가 있는 쪽이 남(南)이다.
2. 진설의 순서
대체적으로 과일, 소채, 면, 탕, 전, 편, 메, 갱 순이며 한꺼번에 진설하는 가문도 있다. 숭늉은 합문, 개문한 후 갱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신위로 부터 제1열에 메와 갱, 제2열에 적과 전, 제3열에 탕, 제4열에 포와 나물, 제5열에 과일을 차례대로 놓는다.
※ 참고 : 예천권씨 초간종택 제찬도
조동율서(棗東栗西) : 서편부터 밤, 사과, 배, 감, 대추의 순으로 놓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 과실이나 조과의 붉은색은 동쪽에 흰색은 서쪽에 놓는다. 동두서미(東頭西尾) :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단, 멧조기는 반대로 놓는다)
※ 참고 1) 주자가례 제찬도
※ 참고 2) 제수진설(祭羞陳設)에 관련된 용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