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_btn
로그인, 회원가입후 더 많은 혜택을 누리세요

의미 및 종류

  

 

 

원래 제사(祭祀)란 신명(神明)을 받들어 복을 비는 의례(儀禮)였으며, 그 대상은 천지(天地), 일월성신(日月星辰)을 비롯하여 풍사(風師), 우사(雨師), 사직(社稷;토신과 곡신), 산악(山岳), 강천(江川)과  선왕(先王), 선조(先祖), 선사(先師)등 이었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선조(先祖)에 대한 의례(儀禮)만을 가리키는 것으로 의미가 축소되어 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조선시대에 조상숭배(祖上崇拜)를 중시하는 유교(儒敎)가 정착함에 따라 대부분의 제사대상이 그 의미를 상실하고, 제례(祭禮)는 단지 선조(先祖)에 대한 의례(儀禮)를 지칭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사문화가 화려하게 꽃피었던 시기는 조선시대로 고려말에 이르러 성리학(性理學)의 도입과 더불어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라 가묘(家廟)를 설치하는 것이 사대부 사이에서 활발해지면서 조상에 대한 제사가 사회적 관습으로 정착되어 갔다.

 

조선시대 예법의 표준은 왕실(王室)의 경우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였고, 민간의 경우에는 '가례(家禮)'가 일반적인 예법서였다. 이러한 조선시대의 제사문화는 조선 말기까지 유교문화속에서 사회전반에 걸쳐서 생활의 중요한 한 부분이 되어왔다.

 

현대적 의미의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는 최소한의 성의 표시를 하는 의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다하지 못한 효도의 연장이고, 자신의 뿌리를 확인하는 의식이기도 한데, 그러한 의식을 통하여 조상의 축복을 기원하며, 가문의 전통과 정신을 배우는 것이다. 아울러 같은 뿌리를 가진 친족들이 모여 화합과 우의를 다짐으로써 현대사회에 만연한 이기주의와 핵가족 제도의 폐단을 줄여주기도 한다.

제사는 사실 우리 사회의 현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설이나 추석같은 명절의 귀성인파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아직까지 우리 민족의 대다수는 조상의 제사를 모시기 위해 해마다 고향을 찾고 있다. 이 세상에서 우리 민족만큼 제사를 숭상하는 민족도 없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례문화는 우리 전통문화의 본질이자 계승해 나가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인 것이다.

 

 

1. 기제(忌祭)

 

4대조(四代祖)까지의 기일(忌日)에 지내는 제사이며, 기제(忌祭)라고도 한다. 기일은 자기를 기준으로 고조(高祖)까지의 친속(親屬)이 사망한 날이다. 기(忌)자는 본래 꺼린다·금한다는 뜻으로 근심에 싸여 마음이 다른 일에 미치지 않는다는 뜻으로 사용하였고, 기일을 다르게는 휘일(諱日)이라고도 하는데 휘(諱)자와 기(忌)는 비슷한 뜻이다. 한국에서는 4대조까지 제사지내는 것을 이상으로 삼아왔으며 제사절차는 지역에 따라 다소 다르다.

 

2. 시제(時祭)

 

계절마다 지내는 제사로 음력 2월·5월·8월·11월에 지낸다. 제일(祭日)은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 가운데 택일하고 당일 새벽 여러 음식을 진설한 뒤 제사를 지낸다. 봄·겨울에는 제사 뒤에 뒤뜰에서 토신제를 지낸다. 시제는 고례(古禮)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된 제사였다. 고대(古代)의 제사는 곧 시제(時祭)를 말하는 것으로 제사의 으뜸이었으나, 조선시대 이후 에는 기제가 중시되면서 점차 퇴색되어 갔다. 시제는 조상을 모신 사당에서 거행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사당이 협소할 경우에는 정침(正寢)의 대청(大廳)에서도 행해졌다.

 

3. 차례(茶禮)

 

예서(禮書)에는 없는 제례(祭禮)이다. 그러나 예서의 사당제와 절충된 흔적이 많다. 대체로 설날·대보름날·한식·단오·칠석·추석·중양·동지 등에 성묘(省墓)의 형태로 지낸다. 그 중에서도 흔히 설날과 추석에 많이 지내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지역·가문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삭망차례(朔望茶禮)·사절차례(四節茶禮)·천신차례(薦新茶禮) 등 3종류의 차례가 있다. 삭망차례는 음력 매월 1일·15일에, 사절차례는 설날·한식·단오·추석에 지내는 것이며, 천신차례는 대보름날·삼짇날·유두·칠석·중양·동지·납일에 지내는 것이다.

 

4. 묘제(墓祭)

 

조상의 묘에서 지내는 제사로 3월 중 택일한다. 하루 전에 재계하고, 다음날 아침 묘소를 깨끗이 한 다음 왼편에 후토신(后土神)에게 제사지낼 곳을 마련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청명·한식·단오(端午)·중양에 지냈다. 실제의 관행에서는 묘제를 시향(時享)·시제(時祭)·시사(時祀)·묘사(墓祀) 등으로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묘제는 높은 조상의 묘소부터 아랫조상의 묘로 내려오면서 지내는데, 각 묘에 제를 올리기 전에 산신제를 지내는 곳도 있다.

 

5. 불천위제사(不遷位祭祀)

 

4대봉사의 대수가 넘어가도 신주를 매주(埋主, 혹은 조매(?埋)라고도 한다)하지 않고 영구히 사당에 모시고 봉사하는 기제사이며, 예서에는 이에 대한 규정이 없다. 국가에서 지정한 국불천위(國不遷位)와 유림에서 발의하여 결정한 사불천위(私不遷位)가 있으며, 다른 기제사와 달리 유림이나 기타 인사들도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불천위 선조를 배출한 문중의 후손들은 이 제사를 큰 영예로 생각한다.

 

6. 기타

 

부모가 회갑 전에 사망하였을 경우 갑사(甲祀)라고 하여 회갑일에 지내는 제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