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 로그인
| ||||||||||
| ||||||||||
| ||||||||||
| ||||||||||
| ||||||||||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류인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을 저술하여 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남겨 놓은 초간(草澗) '권문해(權文海,1534∼1591)'가 세우고 심신을 수양하던 정자이다.
정자는 조선 선조 15년(1582)에 처음 지었고,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광해군 4년(1612)에 고쳐 지었지만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으로 다시 불타 버렸고, 지금 있는 건물은 선생의 원고 등을 보관하기 위해 고종 7년(1870) 후손들이 기와집으로 새로 고쳐 지은 것이다.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양란을 겪으면서 초간정사의 현판이 정자 앞 늪에 파묻혀 있었는데, 어느날 늪에서 오색무지개가 영롱하게 피어올라 현판을 잃고 근심하던 종손이 파보았더니 현판이 나왔다고 하는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 ||||||||||
|